![](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10/Coin.png)
일본 금융청(FSA)은 암호자산을 증권에 준하는 금융상품으로 인정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FSA는 현재의 암호자산을 거버넌스하는 규제 체계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 그룹과의 논의를 시작했다. 이 논의의 결과는 오는 6월 말까지 내부적으로 정리될 예정이며, 이후 금융 시스템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구할 계획이다. 자문위원회는 가을에 회의를 열 예정이다. FSA는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2026년 정기 국회에서 관련 법안을 개정하기 위한 초안을 작성하고 제출할 계획이다.
암호자산이 증권으로 법적으로 분류된다면, 일본에서도 암호자산 스팟 상장지수펀드(ETF)의 승인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규제 체계의 구체적인 내용은 여전히 논의 중이다. 주요 초점은 암호자산을 일본의 금융상품거래법 내에서 기존 증권 프레임워크에 통합할 것인지, 아니면 같은 법 내에서 새로운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거나 지급 서비스법에 따라 규제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다.
또한, 논의는 규제를 받는 암호자산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주요 암호화폐에만 제한을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암호자산의 분류에 대한 논의는 지속되고 있으며, 지난해 8월 FSA 위원장인 이토 히데키는 암호화폐 연계 ETF의 승인은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몇 개월 후, 아베 신조 총리는 암호화폐가 공공 투자의 위해 더 접근 가능해야 하는가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이런 논의와는 별개로 일본의 국내 암호화폐 산업은 규제의 명확성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국내 암호화폐 ETF 연구 그룹은 일본에서 암호화폐 ETF를 설립하기 위한 권고안을 발표했다. 그들의 제안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를 우선시하며, 필요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암호화폐 ETF 및 스팟 거래에 대한 별도의 세금 구조를 구현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일본은 비트코인을 국가 보유 자산으로 채택하는 것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리스크, 유동성, 변동성 등의 우려로 인해 일본 정부는 외환 보유 고정성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최근 “국제 전략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부족하다”며 비트코인을 포함한 자산의 명확한 입장을 취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강조했다. 국제적으로 비트코인 보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본 정부는 외환 보유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입장이다. 반면, 정부 연금 투자 기금은 비트코인을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해 탐색 중에 있다.
![](https://ironfxkorea.com/wp-content/uploads/2024/10/IFX-BONUSES-1200X600-KR-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