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투자회사 메타플래닛이 비트코인(BTC)에 대한 공격적인 매입 전략을 지속하며 총 보유량이 20,000 BTC를 초과했다. 회사는 9월 1일 발표한 최신 보고서를 통해 최근 1,009 BTC를 추가로 매수했으며, 해당 거래의 총 규모는 약 1억 1,200만 달러(약 1,558억 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번 매수로 인해 메타플래닛은 시가 기준으로 보유 자산 총 가치가 20억 달러(약 2조 7,800억 원)를 넘어서며, 글로벌 비트코인 보유 상장 기업 중 여섯 번째로 많은 물량을 확보하게 됐다.
메타플래닛은 7월부터 9월 1일까지 약 30.7%의 비트코인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희석 주식 대비 BTC 보유 비율이 증가한 것에 기반하여 산정된 수치이다. 이 회사는 8월 초 463 BTC를 5,370만 달러(약 746억 원)에 매수한 것을 시작으로, 518 BTC를 추가로 확보하는 데 5,180만 달러(약 853억 원)를, 775 BTC의 매입에는 9,300만 달러(약 1,458억 원)를 사용하는 등 잇따른 대규모 거래를 실행했다. 결국 8월 말에는 이번 분기 최대 거래로 기록된 1,009 BTC를 매수하며 보유량이 20,000 BTC에 도달하는 성과를 올렸다.
특히 주목할 점은 메타플래닛이 불과 세 달 전 10,000 BTC를 넘어섰고, 이제는 그 목표치를 두 배로 늘려 연내 30,000 BTC 달성을 선언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타플래닛은 8억 3,700만 달러(약 1조 1,637억 원)의 자금을 국제 주식 발행을 통해 확보했으며, 그 중 대부분이 9월과 10월 중 추가 비트코인 매입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행보를 통해 메타플래닛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NASDAQ: $MSTR), 마라톤 디지털(NASDAQ: $MARA) 등과 함께 세계적인 BTC 보유 상장사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최근에는 라이엇 플랫폼스를 제치고 6위에 오르게 됐다. 이렇듯 메타플래닛의 전략은 비트코인을 국채처럼 운영하는 기업 전략의 대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시장의 반응은 미묘하다. 구글 파이낸스에 따르면 회사 주가는 최근 4.5% 하락했지만, 여전히 연초 대비로는 135%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오는 월요일 메타플래닛은 도쿄에서 주주총회를 열고 우선주 발행을 포함한 신규 자금조달 방안을 의결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추가 비트코인 매수가 예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 주주총회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차남 에릭 트럼프가 참석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에릭 트럼프는 지난 3월 메타플래닛의 전략 고문으로 위촉되었으며, 회사는 그를 “디지털 자산 채택을 위한 세계적인 목소리이자 촉진자”로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정치권과의 연결이 형성되면서 메타플래닛은 단순한 투자회사를 넘어서 비트코인 거버넌스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