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비트코인 상장기업인 메타플래닛(Metaplanet)이 최근 780 BTC를 추가 매입하며 총 비트코인 보유량을 17,132개로 늘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번 추가 매입은 개당 평균 가격이 약 11만 8,622달러(약 1억 6,515만 원)이며, 총 거래 규모는 약 9,250만 달러(한화 약 1,285억 원)에 달한다. 이로 인해 메타플래닛은 전 세계 기업 중 비트코인 보유량 기준으로 7위, 아시아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비트코인 보유 상장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매입은 단순한 수치 증가를 넘어서는 전략적 의도가 담겨 있다. 메타플래닛의 올해 비트코인 투자 수익률은 무려 449.7%에 달하며, 총 취득 원가는 17억 3,000만 달러(약 2조 4,047억 원)로, 현재 보유 자산의 가치는 20억 달러(약 2조 7,800억 원)를 넘어서고 있다. 평균 매입 단가는 약 10만 1,030달러(약 1억 4,041만 원)로, 현재 비트코인 시세인 약 11만 9,404달러(약 1억 6,578만 원)와 비교해 보면 매우 전략적인 투자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메타플래닛의 매입 소식이 발표된 후 주가가 6% 급등하여 현재 1,255엔 수준에 도달했으며, 비트코인을 도입한 지난 6개월 동안 주가는 무려 200% 이상 상승하였다. 이는 메타플래닛이 암호화폐에 대한 장기적인 신뢰를 드러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메타플래닛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에서 이름을 바꾼 스트래티지(Strategy)와 함께 최근 주요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대규모로 매입하는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이들 기업의 비트코인을 자산 운용의 핵심으로 여기는 선택은 최근 시장의 강세와 맞물려 매우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메타플래닛은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Trump Media & Technology Group)을 제치고 기업 보유 비트코인 수량 기준으로 7위에 올라섰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영향력 아래 있는 기업들이 암호화폐 시장에서 점점 비중을 높이고 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정치권과 월가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흐름과 함께 암호화폐의 위치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이번 매입은 단순한 투자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비트코인은 글로벌 자산 시장에서 이제 기술을 넘어 전략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메타플래닛의 사례는 이러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여겨진다. 암호화폐의 미래와 비트코인의 위치가 계속해서 재조명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