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민물장어 국제 거래 규제 우려 “밥상에서 사라질 수도”

[email protected]



일본에서 민물장어가 국제 거래 규제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소비자들과 업계가 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오는 11월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리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총회에서 민물장어가 다루어질 예정이며, 이는 일본 내 장어 소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CITES 사무국은 최근 민물장어를 포함한 11종의 수생 생물에 대한 잠정 평가를 발표했다. 이 평가에 따르면 모든 종류의 장어가 CITES ‘부속서 2’ 규제의 기준을 충족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 생물의 수출국은 과학적 근거에 따라 허가서를 발급해야 하는 의무가 생긴다. 이러한 규제가 시행될 경우 국제 거래가 크게 제약될 수 있으며, 이는 일본 내 장어 공급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민물장어는 일본,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인기 있는 보양식으로, 특히 일본은 세계 장어 소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현재 일본 시장에서 소비되는 장어의 70% 가량이 중국 등에서 수입되고 있어, 규제 결정 후 장어의 공급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장어를 식탁에서 어렵게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현재 일본 뱀장어의 자원량이 충분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규제가 확정될 경우 수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 깊은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이번 규제가 확정될 경우 장어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도 있어 일본 소비자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민물장어의 국제 거래 규제 문제는 단순한 환경보호 차원을 넘어 일본의 전통적인 음식 문화와 경제적 안정성에 대해서도 심각한 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규제가 시행되면 장어 소비가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일본 내 식문화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업계와 정부의 철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