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자민당 총재선거, 고이즈미 신지로가 선두…물가 대책은 해법 부족

[email protected]



오는 4일 일본 자민당 총재선거가 개최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15일에는 신임 총리가 선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이 당내 지지도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후보 5명 모두 고물가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고이즈미 농림수산상은 1차 투표에서 약 170표로 가장 높은 지지를 얻을 것으로 예상되며,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과 하야시 요시마사 장관이 뒤를 이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는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차지한 후보가 나오지 않을 경우, 상위 두 후보가 결선 투표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자민당 총재는 통상적으로 일본의 총리를 맡게 되며, 이는 일본의 내각제와 관련이 깊다. 현재 고이즈미 농림수산상 외에도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담당상과 하야시 장관 간의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고물가 문제는 이번 선거의 중요한 카운터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지속적으로 물가 상승 압박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45%가 신임 자민당 총재가 집중해야 할 과제로 고물가 문제를 강조했다. 치솟는 물가는 자민당의 과거 선거에서의 참패와 이시바 총리 사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후보들은 물가 상승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 내용은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예를 들어, 고이즈미 농림수산상은 평균 임금을 2030회계연도까지 100만엔 이상 인상하겠다고 공언했으나,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간 4%씩 임금이 상승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하야시 장관은 실질 임금의 1%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의 물가상승률을 고려할 때 명목 임금이 매년 4% 상승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물가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수익 개선 방안과 지속 가능한 임금 성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러한 정책들은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물가 상승에 대응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후보들은 이와 관련하여 세금 감면이나 임금 인상 등 다양한 공약을 내걸고 있으나, 실제로 이행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남아 있다.

결국 일본 자민당의 향후 정책 방향과 신임 총리가 어떻게 고물가 문제를 해결할지는 향후 일본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리더십 아래 처한 어려운 경제적 환경 속에서 어떤 해결책이 제시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