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문가 “사도광산 추도식, 사죄 없는 것은 모욕” 비판

[email protected]



일본의 니가타현 사도섬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이 조선인 노동자의 강제성을 재차 언급하지 않은 것에 대해 일본 내 전문가들이 강한 비판을 제기했다. 일본 니가타국제정보대의 요시자와 후미토시 교수는 이 같은 상황을 지적하며 “작년과 똑같은 발언은 피해자를 모욕하는 것”이라고 언급하고, “감사라는 표현보다는 사죄의 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추도식의 의의는 조선인 강제노동의 문제를 생각하고 계승하는 것에 있으며, 이를 실천하지 않는 추도식은 무의미하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그는 세계유산이라는 개념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한일 간의 대화가 필요하다고도 말했다.

한국의 정치 연구자인 아사바 유키 도시샤대 교수는 “세계유산은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면을 모두 포함한 전체 역사를 전달해야 하며, 선택적으로 정보만을 전달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전체 역사를 보여주지 않으면 역사 수정주의란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날 추도식에 참석한 아라이 마리 사도시 의원도 “반성과 사죄가 필요하다”며, 강제노동의 고통을 기억하고 공감하는 추도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교도통신은 한국이 조선인 노동자의 강제성을 명확히 할 것을 주장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전시 징용이 “국제조약에 반하는 강제노동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외무성 관계자는 “일본과 한국의 입장은 평행선을 달린다”며, 각국이 따로 추도식 진행할 수밖에 없음을 언급했다.

이 날 추도식에서 일본 정부를 대표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조선인 노동자들이 일제강점기에 가혹한 환경에서 일한 사실을 언급하며 “모든 고인에 대해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전했다. 이는 이전 해에 비해 크게 달라진 내용은 아니었다.

한국 정부는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추도식에서 조선인 노동의 강제성에 대한 언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아래 불참을 결정하였고, 이로 인해 이번 추도식은 일본 측만의 반쪽짜리 행사로 전락하게 되었다. 향후 한국은 별도의 추도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