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태평양 연안에 발령되었던 쓰나미 주의보가 31일 오후 4시 30분을 기해 나머지 지역에서 모두 해제되었다. 이 조치는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8.8의 강진으로 인한 여파로 시행된 것으로, 일본 기상청 및 현지 언론사인 NHK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보도했다.
강진이 발생한 직후인 31일 오전 8시 37분, 일본 기상청은 태평양 연안 대부분 지역에 쓰나미 주의보를 발령했다. 이어 오전 9시 40분에 각 지역 상황을 고려하여 일부 지역에 대해서는 더 높은 경계 단계인 쓰나미 경보가 발동되었다. 그러나 이후 상황이 안정되면서 전날 밤 쓰나미 경보는 주의보로 조정되었고, 최종적으로 31일 오후까지 주의보가 유지되었다.
일본에서의 쓰나미 경보는 예상되는 쓰나미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경보는 높이 3m의 쓰나미가 올 것으로 예측될 경우에 발령되며, 주의보는 1m를 기준으로 한다. 이러한 경보가 발령되면 즉시 고지대나 안전한 구조물로 대피해야 하며, 주의보가 발령된 지역에선 해안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야 한다.
기상청은 주의보 해제 후에도 여전히 수치상으로 쓰나미가 관측되고 있는 바, 바다에서 작업을 하거나 수영할 경우 각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장했다. 실제로 그 전날 혼슈 동북부 이와테현 구지항에서는 최대 1.3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고, 일본 각 지역에서는 수십 센티미터에 달하는 쓰나미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미야기현에는 조개의 양식 시설에 피해가 발생하고, 대피 과정에서의 사고로 50대 여성이 차량 사고로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도 발생했다. 대피 과정에서의 넘어짐으로 인한 부상자는 중상 1명과 경상 6명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일본 내 안전 관리 및 자연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일본은 지진과 쓰나미 등 자연재해에 대한 경계가 높은 국가이므로, 지역주민들은 끊임없는 주의와 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