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기록적인 폭염이 전통적인 성묘 풍경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고온을 피해 성묘를 대신해주는 ‘성묘 대행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화로 인해 직접 성묘가 어려운 가정의 증가와 맞물려 새로운 선택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본 공영 NHK와 아사히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도쿄 하치오지에 위치한 한 대행업체는 올해 여름 성묘 의뢰 건수가 지난해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해 60건을 넘어섰다. 감염병과 더위가 겹치면서 성묘를 고민하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대행 서비스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3일, 오봉 연휴 기간 중 한 업체의 성묘 대행 현장에서 특히 인상 깊은 장면이 포착됐다. 도치기현 닛코시에 거주하는 60대 여성은 대행업체의 직원과 영상통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묘지 청소 상황을 확인했다. 직원이 잡초를 뽑고 비석을 닦는 모습을 보며 합장을 하던 의뢰인은 “부모님이 고령이라 직접 방문하기 어려워 이번이 첫 대행 요청이었다”며 감사의 표현을 아끼지 않았다.
이러한 성묘 대행 서비스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다. NHK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성묘 대행을 맡는 대형 청소 서비스 회사에서는 의뢰 건수가 15~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온이 상승할수록 대행 서비스에 대한 문의가 증가하고 있으며, 해마다 지난해의 1.5배에서 2배로 늘어난다고 하여 더욱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기후변화와 고령화의 상호작용 결과라고 분석한다. 폭염이 지속되면서 전통적인 성묘 방식이 물리적으로 어려워진데다, 고령화로 인해 직접 성묘를 시도하기 힘든 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대행 서비스가 유망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성묘 대행 서비스 시장은 더욱 세분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단순한 대행 서비스를 넘어, 온라인 추모 플랫폼, 가상현실(VR) 성묘, 인공지능(AI) 기반의 추모 서비스 등으로의 확장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이러한 변화는 장례와 추모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보다 편리하고 다양한 추모 형태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긍정적 변화는 고령화 사회에 걸맞는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창출하고, 기술을 통한 혁신적 접근이 필요함을 일깨워준다. 일본의 성묘 문화는 폭염과 고령화라는 도전에 맞서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계속될 중요한 흐름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