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한국과 중국에서 수입한 강재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제철과 고베제강소를 포함한 4개 업체가 피해를 신고한 결과로, 일본 재무성과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조사는 주로 용융 아연 도금 강판과 강대로 명명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제품은 가드레일 및 주택 건자재로 사용되며, 이번 조사는 원칙적으로 1년 이내에 종료될 예정이다.
교도통신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일본의 이번 결정은 중국 기업들의 철강 과잉 생산이 세계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특히 지난 7월에는 중국과 대만산 니켈 계열의 스테인리스 강판에 대해서도 반덤핑 조사를 개시한 바 있다. 이는 일본의 철강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세계 최대 철강 생산국인 중국은 올해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인해 내수 수요가 줄어들면서, 저가의 강철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저렴한 중국산 철강 제품들이 해외 시장에 유입됨에 따라 시장 가격 하락을 유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일본과 한국 등 다른 주요 철강 생산국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 정부는 자국 철강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지난 6월 한국을 포함한 해외산 철강 제품에 대해 50%에 달하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등 전 세계 철강 업계에 큰 긴장감을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한국과 일본의 철강 산업에게도 상당한 도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일본의 새로운 반덤핑 조사는 이러한 국제적 요인들 속에서 자국의 철강 산업을 보호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일본 정부는 부정적 외부 요인들에 대한 자국 산업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강구함으로써, 앞으로의 올바른 산업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