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한국의 조사선이 독도 주변에서 진행한 해양조사 활동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고 밝혔다. 일본 외무성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15일 다케시마(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이름) 서쪽 영해에서 한국 조사선 온누리호가 수중에 와이어를 투입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러한 행위에 대해 일본 정부는 즉각적으로 항의의 뜻을 전달했다.
이와 관련하여 가나이 마사아키 아시아대양주국장은 김장현 주일 한국대사관 정무공사에게, 이세키 요시야스 주한 일본대사관 정무공사는 김상훈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에게 각각 독도가 역사적 및 국제법적으로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입장을 강조하며 항의했다고 전해졌다. 일본 정부는 한국이 독도 주변에서 해양조사를 진행할 때마다 이러한 반발을 보여왔으며, 한국 정부는 매번 독도가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히 자신들의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독도는 역사적으로 두 나라 사이에서 치열한 영유권 논쟁의 중심에 있으며, 일본은 이를 다케시마로 부르며 자국의 영토로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독도의 역사적 중요성 및 지리적 위치의 타당성을 근거로 자국의 주권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복잡한 상황 속에서 해양조사 활동은 양국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여지를 남기고 있다.
일본 외무성의 발표 이후, 한국 정부의 공식적인 반응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양국 간의 외교적 갈등이 다시 고조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러한 해양조사는 단순한 조사 활동이 아니라 양국의 자존심과 영토 문제를 촉발할 수 있는 민감한 사안으로, 향후 외교적 대응이 어떻게 이루어질지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결국, 독도 문제는 역사적 배경과 함께 현대 외교에서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고 있으며, 두 국가 간의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대화와 협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