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회용 생수병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생식 건강을 포함한 다양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됐다. 이 연구는 캐나다 콩코디아대 팀이 주도했으며, 국제 학술지 ‘위험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발표되었다.
미세플라스틱은 1μm(마이크로미터)에서 5mm까지의 크기를 가진 플라스틱 파편을 지칭하며, 나노플라스틱은 이보다 훨씬 작은 10㎚(나노미터)에서 1μm 미만의 입자를 포함한다. 특히 나노플라스틱은 그 작은 크기로 인해 체내 침투 능력이 뛰어나 더 큰 위험을 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진은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일회용 생수병에 포함된 미세·나노플라스틱의 건강 위험을 분석하기 위해 141편 이상의 과학 논문을 검토했다. 연구 결과, 이런 플라스틱들은 매립지, 하천, 바다, 자연 생태계에 쌓여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안정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더욱이, 연구에 따르면 매년 평균 3만9000개에서 5만20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인체가 섭취하고 있으며, 생수 소비자들은 수돗물 소비자보다 최대 9만 개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세플라스틱이 체내에서 축적되며, 장기적으로 호흡기 질환, 생식 문제, 신경 독성 및 발암성 등의 만성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연구팀은 현재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표준화된 시험 방법이 부족하고, 관련 규제가 미비한 상황을 지적하며, 더 포괄적이고 강력한 규제의 필요성과 대중의 인식 제고,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건강을 보호하고 생태계를 보존할 필요가 있다는 의식을 더욱 높여야 할 때임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회용 생수병 사용을 줄이고, 생리적 건강을 더욱 고려하는 소비 습관 형성을 촉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위해 환경 친화적인 선택을 고취해야 할 시점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