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평창동의 김종영미술관에서 원로 조각가 임송자의 초대전이 3월 23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전시는 임 작가의 대표작인 ‘컨템퍼러리’ 연작을 중심으로 약 20여 점의 주요 조각작품을 소개한다. 임송자(83)는 평범한 일상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모습과 그들의 감정을 조형물로 표현하며, 관계의 소중함과 시대적 맥락을 담아내고자 했다.
임 작가는 대부분 인물상을 주제로 한 작품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탐구하고 있다. 그가 주목한 사람들은 학교 친구와 조카 등 개인적인 연관이 있는 인물들부터, 경직된 사회 속의 여성,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 재난 현장에서 생존한 사람들 등 다양하다. 이러한 작품들은 억압과 불안, 그리고 환희와 아름다움이 얽힌 인간사를 refle하게 하며, 결국 임 작가 자신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1963년 서울대학교 미대 조소과를 졸업한 임송자는 교직에 몸담으며 작가로 활동하다 1976년 이탈리아로 유학을 떠났다. 이 시기에 그는 전통 조각 방식의 체험과 함께 자연스럽게 자기만의 예술 언어를 개발하였다. 비록 한국 미술계가 서양 현대 미술에 주목할 때, 임 작가는 이탈리아 로마 미술 아카데미에서 전통 조각을 기초로 한 자신의 스타일을 구축하였다. 전통 조각의 매끈한 표면 처리와는 대조적으로, 임 작가는 손으로 흙을 붙여 작업하는 방식으로 거친 질감을 살려내며 독창성을 보여주었다.
임송자의 대표작 ‘컨템퍼러리’ 연작은 그가 이탈리아 유학 시절, 단테의 서사시 ‘신곡’을 읽고 영감을 받아 시작됐다. 이 작품은 여러 동료의 얼굴을 콜라주처럼 조합하여 만든 것으로, 당시 감정과 인물을 잘 표현한 결과 관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전시회에서는 팔을 걷어붙이고 작업하는 여자, 쭈그려 앉은 남자아이 등 친숙한 인물들이 등장해 관객들에게 친근하게 다가선다. 이 작품들은 항상 먼 곳을 응시하며 관객에게 이야기를 건넨다.
60년 가까이 인체 조각과 소조 작업에 전념해온 임 작가는 자신의 손으로 직접 흙을 붙이며 형상을 만든다. 그는 “약체로 태어나 손에 힘이 없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게 표현됐지만, 그것이 나의 스타일”이라고 전하며, “모든 작품은 나로부터 나온다”고 강조했다. 그의 작품 대부분이 한 아름의 크기인 이유에 대해서는 평생 큰 작업실을 얻은 적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임송자는 또한 어머니와의 깊은 연관성을 작품 안에 드러낸다. 어머니가 봄철에 새싹이 돋을 때 한 말들을 기억하며, 그는 자신의 삶과 예술의 지속성을 담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그의 작품에 감성을 더욱 깊게 담아내며, 현대 사회 속에서 보편적인 인간의 경험을 조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