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가 기존 25%에서 15%로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와 기아의 주가는 동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31일 오전 10시 30분 기준으로 현대차 주가는 전일 대비 7000원(3.13%) 하락한 21만6000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기아 주가 역시 전일 대비 4900원(4.43%) 내린 10만5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번 자동차 관세 인하 협상은 한국과 미국 간의 무역협정 체결을 통해 이뤄졌다. 당Initially, 한국은 12.5%로의 낮춤을 목표로 협상에 나섰으나, 미국 측의 거부로 인해 최종적으로 15%로 결정됐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브리핑을 통해 “한국 대표단이 주장한 12.5% 관세율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용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협상 타결로 인해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내일부터 예정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방향으로 체결되었다. 한국 정부는 이에 상응하는 조치로 3500억 달러(약 487조 원)의 대미 투자를 비롯해 1000억 달러(약 139조 원) 상당의 에너지 수입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현대차와 기아의 주가가 하락세를 면치 못하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전문가들은 우선, 한국이 설정한 12.5% 관세 목표 달성 실패가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관세 인하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기대했던 수준에 미치지 못하자, 관련 주식에 대한 매도세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으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자동차 시장 내 경쟁 심화 역시 주가 하락에 일조하고 있다.
또한, 현대차와 기아는 현재 다양한 전기차 모델 출시와 함께 글로벌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 대한 수요 감소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미래 고비용 투자가 예상되는 환경 속에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결국, 자동차 관세가 낮아진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예상보다 낮은 관세율과 경제적 불확실성이 현대차와 기아의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 요인이 되고 있다. 향후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낮아질 때까지 투자자들의 신중한 반응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