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금융안전보고서에 따르면, 자영업자들의 대출 연체율이 12년 만에 최고치인 12.24%를 기록했다. 이번 수치는 2013년 2분기 13.54%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장기화된 내수 부진에 따른 자영업자들의 재정적 어려움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취약한 경제상황 속에서 자영업자들은 다중채무자이며, 저소득과 저신용에 해당하는 차주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취약 자영업자들은 대출금 원리금을 한 달 이상 갚지 못한 경우를 기준으로 연체율이 측정된다. 전체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1.88%에 불과하지만, 비은행권 대출의 경우 3.92%를 기록하여 2015년 3분기 4.60%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갱신했다. 반면 은행권에서의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0.53%에 그쳤다.
자영업자들이 비은행권으로 대출을 옮긴 주된 이유는 자금난으로 인해 신용도가 하락하였고, 결과적으로 은행에서 대출 받기 어려운 상황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로 인해 비은행권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이 크게 상승하며, 경제적으로 더 취약한 계층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동성 리스크 또한 자영업자들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지난해 1분기 기준 비자영업 가구는 금융자산이 부채보다 평균 2000만원 더 많은 상황인 반면, 자영업 가구는 부채가 자산보다 2900만원 많은 금융 순부채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현실은 자영업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경제적 압박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
이종렬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추가경정예산안에서 고려되고 있는 민생회복 지원금이 소비 진작 및 매출 증대로 이어져 자영업자들의 소득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장기연체채권 소각을 통한 채무 조정이 취약 자영업자 회생을 지원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그러나 자영업자들의 현실은 여전히厳しく, 지원 대책들이 실제 효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자영업자들은 벼랑 끝에 서 있는 긴박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지원책이 마련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