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난에 직면한 캐나다 마린랜드, 벨루가 30마리 안락사 우려”

[email protected]



캐나다의 해양 테마파크인 마린랜드가 재정 위기를 맞으며 이곳에서 사육 중인 흰고래 벨루가 30마리의 안락사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BBC의 보도에 따르면, 마린랜드는 벨루가를 중국으로 판매하기 위한 허가를 신청했으나 캐나다 정부의 거부로 인해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정부에 지원을 요청한 마린랜드는 ‘안락사 가능성’을 언급하며 압박을 가하고 있다.

1961년에 설립된 마린랜드는 한때 캐나다에서 인기 있는 관광지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동물 학대 의혹과 재정 문제로 점차 존립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CBC 방송의 보도에 따르면, 2019년 이후 마린랜드에서는 범고래 1마리와 벨루가 19마리를 포함해 총 20마리가 사망했으며, 이는 자연적인 수명 때문이라는 해명이 있었지만, 온타리오주 동물복지국은 200회 이상의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질 불량이 해양생물을 심각하게 스트레스에 빠뜨리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마린랜드의 벨루가 30마리를 중국으로 판매하기 위한 노력은 정부의 반대에 부딪혔고, 이는 조앤 톰슨 수산부 장관의 김시시우 원주동이 “중국에서도 벨루가들이 단순한 오락 수단으로 취급될 것”이라는 판단에 기인한 것이다. 결국 마린랜드는 정부의 도움이 없으면 안락사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으며, 이는 정부의 결정이 초래한 결과라고 강조하였다.

이 상황에 대한 의견은 나뉘고 있다. 마린랜드의 수석 조련사로 오랜 경력을 가진 필 데머스는 “중국 외에는 대규모 벨루가를 수용할 수 있는 시설이 거의 없다”고 주장하며, 벨루가들을 신속히 다른 시설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내 여러 수족관이 벨루가를 개체 분산 시스템으로 수용하는 현실적인 대안을 제안하였다.

일부 전문가들과 동물 보호 단체들은 온타리오 주 정부가 개입해 벨루가들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온타리오주 동물복지법'(PAWS Act)에 따르면, 주정부는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구출하고, 관련 비용을 시설 소유자에게 청구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세계 동물 보호 단체의 콜린 사라바나무투 전무이사는 “마린랜드와 주 정부 사이의 책임 떠넘기기 게임은 용납될 수 없다”며 즉각적인 대책을 촉구했다.

또한 고래와 돌고래 보호협회(Whale and Dolphin Conservation)는 각 벨루가에 대한 독립적인 수의학 평가를 실시하고, 인도적인 결과를 보장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했고, 노바스코샤주에 위치한 고래 보호구역 프로젝트(Whale Sanctuary Project)로의 이송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내년 여름에 완공 예정이며, 수용할 수 있는 최대 동물 수가 제한적이다.

현재 마린랜드의 벨루가 상태에 대한 공식적인 정보는 부재하지만, 동물들이 처한 상황은 매우 위태롭고, 안락사 위협은 단순히 압박의 수단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필 데머스는 이런 압박이 동물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