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스틴 선과 WLF 간의 갈등, 1,540억 원 토큰 동결로 디파이 탈중앙성 논란

[email protected]



최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과 트론(TRX) 창립자 저스틴 선(Justin Sun) 간의 충돌이 심각한 갈등 양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WLF가 약 1,540억 원(1억 1백만 달러) 상당의 WLFI 토큰을 보유한 특정 지갑 주소를 블랙리스트에 등록하면서 시작됐다. 이 조치는 프로젝트의 거버넌스와 관련한 신뢰를 크게 훼손하며, 디파이(DeFi)의 본질적인 탈중앙성에 대한 의문까지 불러일으키고 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스팟온체인(Spot on Chain)에 따르면, WLF 팀은 9월 5일 WLFI 스마트컨트랙트의 블랙리스트 기능을 발동시켜 특정 지갑 주소(0x5AB2…DA74)를 차단했다. 해당 지갑은 초기에는 약 30억 개의 WLFI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최근 5,400만 개(약 1,540억 원) 상당의 토큰을 다른 지갑으로 이체한 정황이 발견됐다. WLF는 이를 근거로 나머지 토큰을 영구 동결시킴으로써 큰 논란을 일으켰다.

가장 큰 투자자인 저스틴 선은 이 조치에 대해 강력히 반발했다. 그는 지난해 1,040억 원(7,500만 달러)을 WLF에 투자하며 파트너십을 맺었지만, 이번 조치는 그러한 신뢰를 배신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토큰은 신성한 것으로, 침해할 수 없는 권리다. 이번 행위는 투자자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할 뿐 아니라, WLF의 신뢰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이 사태는 WLFI 토큰의 시장 가격에도 영향을 미쳤다. 9월 1일 최고가인 0.3313달러에서 45% 급락한 현재 가격은 0.1815달러(전일 대비 1.6% 하락)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거래량은 약 1조 8,070억 원(13억 달러)을 넘어서면서도, 시장의 변동성은 더욱 심화되었다.

WLF 측은 해당 블랙리스트 조치가 거버넌스에 따른 정당한 결정이라고 주장하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프로젝트의 중앙화 문제를 드러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로 인해 선이나 다른 대형 보유자에게도 유사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며, “디파이의 탈중앙성이 단지 형식일 뿐인가”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금방 확산되고 있다.

한편, 이 문제가 발생하기 전, 트럼프 가문은 WLF 지분의 약 20%를 매각해 전체 지분율을 60%에서 40%로 감소시켰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는 WLF 내부에서는 위기를 조짐으로 보고 사전 대응했던 것이라는 해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저스틴 선과 WLF 간의 갈등은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과 근본적인 철학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기점이 되고 있다. 향후 블랙리스트 조치가 철회될지, 아니면 더 강화될지는 의문으로 남아 있지만, 이번 사태는 WLFI의 탈중앙화 정체성을 손상시켰다는 점에서 분명하다. 이 사건은 디파이 분야 전반에 중요한 교훈을 남길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