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스틴 선, 트럼프 연계 암호화폐 WLFI에 토큰 동결 해제 요청…“투자자 기본권 침해”

[email protected]



저스틴 선(Justin Sun), 트론(TRX) 창립자가 최근에 트럼프 대통령 가문과 연관된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 측에 자신의 토큰 동결 해제를 공식 요청했다. 이는 그의 지갑이 ‘의심 거래’로 식별되어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데 따른 대응으로 해석된다.

선의 WLFI 관련 지갑은 13일(현지시간) 900만 달러(약 125억 원) 상당의 자금 이동이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 넌센(Nansen)과 아캄(Intelligence 플랫폼 Arkham)에 의해 포착된 이후, ‘토큰 판매 시도’로 판단되어 차단된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사실은 코인텔레그래프에 의해 처음 보도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선은 하루 후 X(구 트위터)를 통해 “내 프리세일(사전 판매) 토큰이 부당하게 동결되었다”고 주장하며 “탈중앙화 블록체인 기술의 기본 원칙에 따라 WLFI 프로젝트 측이 투자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내 토큰을 즉시 해제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전체 WLFI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자 신뢰에 심각한 훼손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담고 있다.

선은 또한 “토큰은 신성하고 침해할 수 없는 권리”라며 “이러한 원칙이 전통 금융보다 더 공정하고 효과적인 이유”라고 강조했다. 현재 WLFI는 일부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들 또한 연루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미국의 정치권과 암호화폐 업계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빠르게 주목받고 있는 중심 프로젝트다.

대규모 인플루언서의 지갑 차단 조치는 커뮤니티 내부에서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으며, 프로젝트의 향후 조치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투자자들과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트론 창립자의 발언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질지, 그리고 WLFI 프로젝트의 향후 방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진정한 탈중앙화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성찰을 요구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저스틴 선의 요청은 단순한 개인적 차원에 그치지 않고,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걸쳐 투자자 권리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금 환기시키는 계기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