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스틴 선(Justin Sun) 트론(TRX) 창립자가 보유한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 토큰 주소가 HTX 거래소에 5,000만 개의 WLFI를 전송한 직후 블랙리스트에 올라 가격 조작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온체인 분석업체 난센(Nansen)과 아캄(Arkham)의 자료에 따르면, 해당 주소는 900만 달러에 달하는 거래를 처리한 후 즉각 블랙리스트로 지정되었다. 이 사건은 WLFI의 퍼블릭 거래가 시작된 상황에서 발생함에 따라 많은 이들이 WLFI가 특정 사용자에게 매도 제한을 두고 시장 가격을 조작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저스틴 선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이와 관련한 해명을 발표했다. 그는 WLFI의 전송 활동이 ‘자산 분산(address dispersion)’에 따른 기본 테스트였음을 주장하며, 거래소에서의 매수나 매도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극히 적은 양의 WLFI를 단순 입금 테스트로 사용했을 뿐”이라고 언급하며, 이번 내용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러한 그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가격 조작 논란이 일고 있으며, WLFI 팀의 공식 입장이 없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우려가 커지고 있다.
WLFI의 초반 유통 및 관리 방식이 투명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향후 프로젝트가 어떤 대응을 할 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암호화폐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WLFI에 투자한 이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 결과적으로, 저스틴 선의 특정 활동이 가격 조작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WLFI 프로젝트가 이 같은 의혹을 종식시키기 위해 앞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지가 주목된다.
지금까지 WLFI 측은 문제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가격 조작 의혹 및 거래소의 블랙리스트 지정 사건은 암호화폐와 관련된 신뢰 문제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앞으로의 시장 반응에 관심이 집중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은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