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부실 탈출을 위한 경영 실태 평가 시작

[email protected]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 부실 문제 해결을 위한 경영실태 평가에 착수했다. 이는 최근 건전성 지표 악화로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경영 지표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저축은행들이 당국의 관리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올해 하반기부터 연체율 등의 주요 지표가 개선되고 있어 향후 저축은행들의 경영 정상화가 기대되고 있다.

최근 금융권의 소식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해 12월 경영 개선 권고를 받은 안국저축은행과 라온저축은행의 경영 평가를 시작했다. 적기시정조치를 유예받았던 SNT저축은행은 이번 유예 종료 조치를 통해 한 단계 벗어났으며, 이는 당국의 관리에서 외부로 나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저축은행의 적기시정조치 유예는 부실 우려가 있는 금융회사가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하고 자구 노력을 인정받는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적기시정조치를 연기하는 프로세스이다.

현재 저축은행들은 실적 회복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는 대다수의 저축은행들이 지난해 이후의 적기시정조치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안국저축은행은 6월 기준 고정이하여신비율이 12.21%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8.81%포인트나 감소하였으며, 이는 대단히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라온저축은행은 KBI그룹 계열사인 KBI국인산업에 대한 매각이 최종 결정된 상태로, 이러한 인수합병이 향후 경영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저축은행 부실 탈출의 조짐은 단지 시작일 뿐이라고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저축은행들이 지속적으로 성과를 개선할 경우, 금융당국의 개입 없이 자율적인 경영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들의 재정적 안정성이 회복될 경우, 소비자와 투자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며, 금융 시장 전반에 걸쳐 신뢰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저축은행들의 경영 실태 평가와 지속적인 지표 개선은 이들 금융기관이 안정적인 운영으로 나아갈 발판이 될 예측이다. 금융당국의 경영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인 만큼, 저축은행들의 향후 경과가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