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학 전공 선택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보다는 사회적 평판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최교진 컬럼비아대 석좌교수는 최근 인터뷰에서 이러한 전공 서열화의 문제를 지적하며, 한국의 교육 체계가 인재 양성을 저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주변의 시선을 의식해 적성과는 무관하게 특정 전공으로 이동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런 현상은 특히 한국처럼 대학 및 전공 간의 명성이 중시되는 사회에서 두드러진다. 최 교수는 자유전공모집 제도를 보다 널리 채택하여 학생들이 더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현재의 전공 선택 체계는 성적을 희생시키며, 결국 더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한국의 대학 시스템이 서열화되어 있지만, 전공의 서열화가 더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교수팀이 발표한 ‘대학 입시와 전공 선택에서의 평판 추구’라는 논문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대 사회과학학부와 자유전공학부 신입생의 선택을 추적한 결과, 사회과학학부의 학생들 가운데 75.7%가 경제학과를 선택했다. 반면, 자유전공학부 출신의 학생 중 경제학을 선택한 비율은 54.7%에 그쳤다.
최 교수는 이러한 선택의 차이를 평판에 대한 학생들의 심리적 압박으로 분석했다. 그는 사회과학학부 학생들이 졸업 시 전공을 명시하는 방식 때문에 경제학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은 졸업장에 자신이 원했던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에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런 전공 선택 과정이 학생들의 적성과 맞지 않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며, 결국 학업의 성과에 저해 요소로 작용한다고 최 교수는 경고했다. 그는 “평판을 추구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개인에게 이익이 될 수도 있지만, 사회 전체적으로는 상당한 비효율성을 초래한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마침내 서울대와 같은 특정 대학의 수를 늘리는 것보다, 전공 선택의 비효율을 줄이는 것이 더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자유전공 제도를 보편화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에 맞게 전공을 선택할 기회를 늘려야 한다”며 “더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전공 선택 과정에서 학생들이 평판을 우선시하는 현상은 학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공 선택 체계와 자유로운 전공 선택 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