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서열화, 인재양성 저해하는 구조적 문제”

[email protected]



최연구 미국 컬럼비아대 석좌교수가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대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공 서열화’ 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 학생들이 전공 선택 시 평판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자신의 적성과 맞지 않는 전공을 선택하게 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말했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의 학업 성과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인재 양성에도 심각한 장애물이 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최 교수는 특히 서울대 내에서 전공 선택에 대한 평판이 학생들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예로 들었다. 그의 연구팀은 서울대 사회과학학부와 자유전공학부의 신입생들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학학부에 입학한 338명 중, 2학년이 된 후 경제학과를 선택한 학생의 비율이 75.7%에 달한 반면, 자유전공학부 입학생 중 경제학을 선택한 비율은 54.7%에 그쳤다. 이는 주어진 평판에 따라 학생들이 자신의 진정한 적성과는 무관하게 인기 있는 전공으로 몰리는 경향을 보여준다.

최 교수는 “사회과학학부에 입학한 학생들은 졸업 증명서에 세부 전공이 기록되기 때문에, 평판을 의식하여 경제학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반면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은 졸업장에 자유전공학부로만 기재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선택의 결과로서, 자유전공학부 학생들의 경제학 성적이 사회과학학부 학생들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전공 선택의 부조화가 학업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입시와 전공 선택의 자유도를 높이는데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서울대의 수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공 선택의 비효율성을 줄이고 더 생산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훨씬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의 이러한 발언은 한국의 고등 교육 시스템 내에서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한 중요한 논의의 일환으로, 사회적 평판이 전공 선택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의 대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더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을 기반으로 한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되새기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학업 성과와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평판 중심의 전통적 사고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전공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반드시 유념해야 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