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발표한 9·7 주택공급 확대 대책이 건설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증권가는 이러한 수혜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는 정부가 민간 부문보다 공공 사업에 중점을 둔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수요 억제 정책이 지속되고 있어 건설주들의 주가 상승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다.
한국 거래소에 따르면, 8일 현대건설, DL이앤씨, GS건설, 대우건설, 한일시멘트 등 주요 건설주들이 전일 대비 상승했다. 현대건설은 0.84%, DL이앤씨는 1.04%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 건설주는 국내 건설업계에서 노무 리스크가 커 주가가 불안정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사망사고 규제 강화와 노란봉투법 도입 등으로 건설주들의 주가는 이전부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KRX건설지수도 이날 820.27로 전 거래일 대비 0.91% 상승했지만 올해 6월 900을 웃도는 수준에서, 7월에 700대로 떨어지는 등 변동성이 컸던 상황이다. 증권 전문가들은 정부의 9·7대책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통한 공공택지 개발 및 공동임대주택 공급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민간 중심의 대형 건설사들에게는 실질적인 수혜 효과가 적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의 이은상 연구원은 “정부가 공급 목표를 인허가 기준이 아닌 착공 기준으로 제시한 점은 긍정적이지만, 공공성이 강조되는 현재의 주택 공급 과정에서 민간 건설사들에는 수혜가 한정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신한투자증권 김선미 연구위원은 “9·7 주택 공급 대책이 건설업종의 주가에 중립 이하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특히 중소형 건설사나 시멘트업체는 착공 증가로 인해 상황이 더 나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민간도시정비사업 규제 완화나 택지 공급 방안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출 규제 등이 강화되면서 수요가 억제되고 있어 업종 분위기를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대형 건설사들은 9월 발표 예정인 산재 종합 대책의 내용과 원전 추진 속도를 면밀히 고려하여 투자를 결정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결론적으로, 정부의 9·7 주택 공급 대책이 건설주에 미치는 효과는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시장 상황과 수요 억제 기조를 고려할 때 장기적인 성장을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향후 건설 업계의 흐름은 정부 정책과 외부 요인에 따라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