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원화 스테이블코인 개발 검토…동남아시아 결제 수단으로 떠오를까

[email protected]



한국 정부가 원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개발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활용한 해외 결제 수단 구성을 검토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5년 8월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수요가 동남아시아 지역, 특히 베트남 등에서 존재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디지털 자산 기반 결제 수단으로의 유용성을 피력했다.

스테이블코인은 기존 화폐나 특정 자산에 연동해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암호자산으로, 금융 시스템 내에서 큰 변동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 부총리는 스테이블코인이 블록체인 기술 위에서 구축될 수 있음을 설명하며, 기본 통화에 따라 달러 또는 원화 기반으로의 전환 가능성도 강조했다. 그는 이를 통해 “제대로 된 스테이블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는 목표를 설정하며, 기술적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도입 과정은 외환 관리, 통화 정책, 금융 안전성 등 다양한 제도적 도전 과제가 동반될 것으로 보인다. 구 부총리는 이런 스테이블코인이 기존 금융 질서에 미칠 영향을 언급하며,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술 연구와 동시에 제도적 정비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실제로 법적 기반 마련을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구 부총리는 외환거래법 개정과 관련하여, 국경 간 가상자산 이동 감시 및 통제를 위한 법적·행정적 장치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국세청, 관세청 및 금융정보분석원(FIU)과 같은 기관들과의 협업을 통해 불법 거래를 방지하고 디지털 자산의 유통을 제도권 내에서 관리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은 한국 금융 정책이 국제적인 디지털 화폐 경쟁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도입될 경우, 해외 송금과 결제 수단으로 활용되며 특히 한류와 관련된 문화와 한국 기업의 진출이 활발한 지역에서 경제적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정부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개발 검토는 향후 경제 정책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