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는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정상 외교가 재개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고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재명 정부 내에서 동맹파와 자주파 사이의 분열설에 대해서도 강력히 반박하며, 현 정부가 실용적인 외교를 지향하는 ‘실용파’임을 강조하였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뉴욕에서 한국 특파원단과 만난 자리에서,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 간 대화 재개 여부 관련하여 “현 시점에서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전했다. 이는 이런 상황에서 대화가 발생할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2019년 일본의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직후 한국을 전격적으로 방문해 판문점에서 김 위원장과 만났던 사례가 있다. 이번 발언은 이러한 전례를 고려할 때 유사한 형태로 북미 정상회담이 재개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김 위원장이 ‘비핵화 포기’를 전제로 미국과 대화를 할 의향을 내비친 가운데, 정부 판단이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실질적으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한 달 전 라디오 인터뷰에서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현재는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 위원장도 지난 21일 최고인민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다”며 “미국이 비핵화를 포기하고 현실을 인정하면 우리는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다”는 뜻을 나타냈다. 이는 북미 간 대화 재개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정부 고위 관계자는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면서 “정부 내에서 동맹파와 자주파로 나뉘어 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자주파는 남북 공조를 중시하는 그룹을 의미하며, 동맹파는 한미 동맹을 강조하는 세력이다. 현 정부에서 이종석 국가정보원장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자주파로, 반면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조현 외교부 장관은 동맹파로 평가된다.
이 관계자는 “대통령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참석자들은 모두 실용 외교를 지향하는 실용파”라며, 정부 내의 분열설을 일축했다. 이러한 발언을 통해 정부는 일관된 외교 노선을 유지하고 있음을 대통령과 민주당 정부의 의도가 명확하다는 점을 부각시키려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