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크푸드를 며칠만 섭취해도 뇌의 인지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뉴런에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를 게재하며, 정크푸드 중심의 식단이 뇌의 기억 중추 역할을 하는 해마에 빠르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에서 실험용 생쥐에게 정크푸드와 고지방 서구식 식단을 제공한 결과, 단 4일 만에 해마의 CCK 중간 신경세포가 비정상적으로 과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활성화는 뇌가 포도당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치즈버거와 감자튀김 등 포화지방이 많은 정크푸드를 몇 날만 섭취한 것만으로도 뇌의 기억 처리 기능에 큰 방해가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에서는 뇌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는 효소 ‘PKM2’가 주요한 역할을 하며, 고지방 식단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고 밝혔다. 연구를 이끈 후안 송 교수는 “식이요법이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짧은 기간의 고지방 식단이 CCK 중간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은 놀라웠다”며, 포도당 공급 감소에 대한 반응으로 세포 활동이 얼마나 빠르게 변화하는지를 강조했다.
또한, 연구진은 고지방식품 섭취로 악화된 뇌 기능이 포도당 공급의 회복과 건강한 식습관 조정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간헐적 단식과 같은 식습관 관리만으로도 CCK 중간 신경세포를 정상화시키고 기억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송 교수는 이러한 연구 결과가 장기적으로 신체와 뇌 건강을 동시에 관리하여 치매 부담을 줄이는 다양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현재 연구진은 포도당 민감 신경세포가 기억을 지지하는 뇌 리듬을 어떻게 방해하는지를 추가로 연구하고 있으며, 이 연구 결과가 실제 인간에게도 적용 가능할지, 고지방 식단이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지를 검토할 계획이다. 향후 뇌 포도당을 안정화하는 식습관 패턴이 뇌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탐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