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제미나이(Gemini)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리플(Ripple)로부터 7,500만 달러, 즉 약 1,043억 원의 대출을 확보한 사실이 알려졌다. 이 계약에는 리플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RLUSD를 활용한 추가 자금 조달 옵션도 포함되어 있어, 이번 협력이 단순한 대출 관계를 넘어서는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리플의 XRP 기반 결제망에 정통한 크립토 인플루언서인 ‘@WKahneman’은 이 거래의 의미와 배경을 분석했다. 그는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제미나이의 IPO 서류를 통해 두 회사의 관계를 조명하며, 특히 RLUSD가 기관용 자산으로 첫선을 보였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 대출은 최대 1억 5,000만 달러, 즉 약 2,085억 원까지 확대될 수 있으며, RLUSD를 활용한 추가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업 확장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RLUSD는 리플이 출시한 첫 번째 주요 규제형 스테이블코인으로, 이러한 자산의 실사용 사례가 확보됨으로써 유통과 인지도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리플은 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제미나이와의 파트너십을 활용하며, 시장에 새로운 규제형 스테이블코인 모델을 제시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제미나이는 올해 상반기에만 2억 8,200만 달러, 약 3,920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이전의 보고된 순손실 4,000만 달러, 즉 약 556억 원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제미나이는 현재 보유 현금이 1억 6,100만 달러, 약 2,238억 원에 불과하지만, 채무는 20억 달러, 즉 약 2조 7,800억 원을 초과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제미나이는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양사는 유럽 내 규제 대응에서도 협력하고 있다. 제미나이는 최근 몰타에서 MiCA(암호화폐 시장법) 허가를 취득했으며, 리플은 룩셈부르크에 전자화폐기관(EMI) 라이선스를 신청 중이다. 이는 유럽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해석된다.
또한 리플의 파트너인 웹뱅크(WebBank)는 XRP 기반 카드 상품의 출시를 준비하고 있으며, 이는 리플의 7,500만 달러 유동성 확보를 통해 지원받고 있다. 이 카드의 발매일은 8월 25일로 예고되고 있어, 향후 RLUSD와 XRP를 활용한 통합 결제 인프라의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번 사례는 단순한 자금 대출을 넘어 리플이 XRPL 생태계 전반에서 자산 유통, 결제 인프라 및 규제 정합성을 확보하는 중장기적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만약 제미나이의 IPO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리플은 기술 및 자금 양면에서 가장 큰 수혜를 입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