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Gemini)가 유럽 지역에서 본격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카메론과 타일러 윙클보스 형제가 창립한 제미니는 최근에 이더리움(ETH)과 솔라나(SOL) 예치 서비스를 유럽경제지역(EEA)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시작했고, 함께 USDC 기반의 영구 선물 거래 상품도 출시에 나섰다. 이러한 결정은 제미니가 유럽에서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시장에서 최고의 거래소로 자리매김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번 서비스 확장은 제미니가 올해 8월 몰타에서 유럽연합의 암호자산시장규제(MiCA) 승인을 받은 이후 이루어진 일이기도 하다. 또한 5월에는 금융상품시장지침(MiFID II)에 따라 인가를 획득한 바 있다. 제미니의 유럽 총괄 마크 제닝스(Mark Jennings)는 “현물, 스테이킹, 영구 파생상품을 통합된 플랫폼에서 제공할 수 있는 거래소는 매우 드물다”며, “우리의 목표는 유럽의 주요 거래소 중 하나로 자리 잡는 것”이라고 밝혔다.
제미니의 파생상품 확대는 현물 거래의 부진에 대한 전략적인 대응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암호화폐 분석 업체인 토큰인사이트(TokenInsight)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현물 거래량은 전년 대비 32% 감소했으며, 2분기 거래 규모는 3.6조 달러(약 5,004조 원)로 축소됐다. 반면, 파생상품 거래는 같은 기간에 20.2조 달러(약 28,078조 원)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거래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상장지수펀드(ETF)와 같은 대체 금융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깊다.
제닝스는 “최근 몇 달 간 글로벌 파생상품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시장 규모가 올해 말까지 23조 달러(약 31,97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부연하며, 제미니는 이러한 성장세를 활용해 파생상품 분야를 새로운 성장 축으로 삼을 계획이다. 특히 유럽 암호화폐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기 위한 전략으로 파생상품 부문을 중점적으로 성장시킬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제미니의 이번 확장은 단순한 서비스 도입을 넘어, 유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키우고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포석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역동성을 감안할 때, 제미니의 전략적 의사결정이 향후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