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의 최고경영자(CEO)인 젠슨 황이 최근 회의에서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중국이 미국을 압도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다. 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황 CEO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AI의 미래 서밋’에서 이러한 주장에 대한 근거로 미국과 중국의 기술 규제 차이를 지적했다.
그는 미국 및 영국을 포함하는 서방 국가들이 ‘냉소주의’에 갇혀 있다며, 기술 혁신을 위한 더 많은 낙관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황 CEO는 미국 각 주에서 추진 중인 AI 규제는 과도하다며, 이로 인해 최대 50개의 새로운 규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의 경쟁력을 저하시킬 위험이 크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황 CEO는 중국 정부의 기업 친화적 정책을 언급했다. 그는 중국이 자국산 AI 칩을 사용하는 기업에게 에너지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통해, 엔비디아의 AI 칩 대신 자국 제품을 사용할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중국에서는) 전기가 무료”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정책이 결국 미국 기술의 시장 점유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엔비디아 칩은 현재 처리 능력과 전력 효율성 면에서 중국산 칩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중국 정부의 에너지 보조금 정책은 기업들에게 중국산 칩을 사용하는 유인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FT에 따르면, 최근 중국은 바이트댄스, 알리바바, 텐센트 등 주요 기술 기업의 데이터 센터에 대해 전력 요금을 최대 50%까지 인하하는 보조금 제도를 도입했다. 이러한 변화는 민간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운영비 절감을 위해 중국산 칩을 선호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황 CEO는 또 미국의 최신 AI 모델이 중국의 경쟁사들보다 크게 우세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미국 정부가 세계 기술 시장에서 미국의 기술 의존성을 높이기 위해 칩 시장을 보다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엔비디아의 최첨단 칩의 중국 판매를 허용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는 내용이 CBS 방송과의 인터뷰를 통해 드러났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황 CEO는 미국이 AI 경쟁에서 뒤쳐질 위험성에 대해 큰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기업과 정부가 협력하여 보다 유연한 정책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