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완충지대 제안 거부… “이미 존재한다”

[email protected]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평화협정 체결의 일환으로 검토되고 있는 40㎞ 규모의 완충지대 조성 제안에 대해 강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29일(현지시간) BBC와의 인터뷰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늘날 전쟁의 기술적 수준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완충지대를 제안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제안이 비현실적이라고 언급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언은 최근 폴리티코 유럽판의 보도와 관련이 있다. 보도에 따르면 유럽 군 관계자들이 우크라이나의 종전이나 휴전 시 적용할 안전보장 방안 중 하나로 완충지대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선 가까운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드론 공격의 위협 때문에 이미 양국 간의 사실상 완충지대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양쪽 군대의 중화기가 서로 10㎞ 이상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드론 공격으로 인한 결과라고 언급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러한 지역을 ‘데드존’ 또는 ‘그레이존’이라고 부르며, 이곳에서 우크라이나는 추가적인 영토를 포기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러시아가 우리와의 거리를 두고 싶다면, 그들은 우리가 점령한 영토 깊숙이 후퇴할 수 있다”고 말하며,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와 함께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외교적 해결을 원하지 않고, 오히려 전쟁을 지속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메시지는 우크라이나가 평화 협상에 있어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후 구상에 중국 군대를 평화유지군으로 초청하자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백악관에서의 한 회동에서 러시아와의 평화 합의의 일환으로 중국이 평화유지군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제안을 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유럽 국가들은 이러한 제안에 대해 반대하고 있으며, 젤렌스키 대통령 또한 중국이 러시아를 비판하지 않는 점을 이유로 이 방안을 거부했다.

중국의 역할을 우크라이나 전후 구상에 포함시키려는 제안은 처음이 아니다. 러시아는 2022년 초반 튀르키예에서 열린 협상에서 중국 군의 평화유지군 파견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으며, 중국은 전쟁 종식에 ‘건설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그러나 과거와 현재 모두 우크라이나에게 이러한 제안은 수용할 수 없는 사안이다. 모든 보장국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러시아가 군사적 개입에 대한 거부권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재의 안전 상황과 지형을 바탕으로 우크라이나의 정당한 주권과 영토를 지키겠다는 명확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