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9월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건 이후, 다수의 한국 기업들이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를 철회하거나 보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워싱턴포스트(WP)는 한국 기업 중 최소 두 개사가 미국에서 계획했던 투자 프로젝트를 취소했으며, 최소 네 개사는 일시 중단했던 대미 투자의 보류 기간을 연장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결정은 주재 컨설턴트와 변호사 등 업계 관계자들에 의해 밝혀졌으며, 기업들은 고객과의 사업 관계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해 해당 기업의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다.
WP는 미국 상공회의소 산하 미국-한국 경제 협의회 회장을 역임한 태미 오버비 국제 비즈니스 컨설턴트의 말을 인용하여 한 한국 기업이 미국 내 새로운 공장 부지를 물색하고 있었지만, 미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위험을 알게 되면서 결국 한국에서 공장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 대한 신뢰를 다시 재평가하게 되었다.
올해 9월,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단속이 이번 사태의 큰 계기가 되었다. 이민 당국의 단속으로 300명 이상의 한국인 노동자가 구금됐고, 이들은 정부 간 협상이 진행된 후 7일 만에 석방되었다. 이러한 사건은 한국과 미국 간의 경제 협력의 상징적 현장에서 발생한 만큼 대규모 대미 투자에 치명적인 불확실성을 초래했다. 이후 한미 양국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로 합의했지만, 이민 단속의 여파는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또한, WP는 투자 위축의 배경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비자 규제를 지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문직 비자(H-1B) 수수료를 대폭 인상한 바 있으며, 이는 기업들이 미국 내 인력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국제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 인트라링크의 조너선 클리브 한국 대표는 “직원들이 미국 파견을 꺼리는 마음이 커져가는 만큼, 이는 기업의 의사 결정 과정에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인력 구금 사건을 넘어 한국 기업들의 미국 투자를 크게 위축시키고 있으며, 앞으로의 투자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안정성과 신뢰를 다시 찾기 위해 어떤 전략을 세울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