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일(현지시간) 정상회담을 통해 천연가스 공급 확대에 관한 합의를 이루며 양국 간의 결속을 과시했다. 이번 회담에서는 가스 분야를 포함해 총 20여 건의 협력 문서에 서명하는 성과가 있었다. 특히, 러시아에서 중국으로의 천연가스 공급량을 대폭 늘리기로 결정하고, 몽골을 경유해 새로운 가스관을 건설하기로 합의했다.
러시아 국영 가스기업 가스프롱의 알렉세이 밀러 CEO는 기존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을 통한 대중국 가스 공급량을 연간 380억㎥에서 440억㎥로 증가시키기로 했으며, 2027년 가동될 ‘극동’ 가스관을 통해 송출될 가스량도 연 100억㎥에서 120억㎥로 확대할 것을 확인했다. 그뿐만 아니라, 몽골을 통해 중국으로 가스를 보내는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 건설에 관한 법적 구속력 있는 합의도 체결하였으며, 이 사업을 통해 30년 동안 연간 500억㎥의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공급 가격은 추후 결정할 계획이고, 현 시점에서 유럽에 부과되는 가격보다 낮을 것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중국과의 가스 협력 확대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 제재로 유럽 시장에서의 기회를 상실한 러시아에게는 중요한 수입원 확보의 기회를 제공한다. 이미 러시아의 최대 에너지 판매처인 중국은 안정적이고도 더 저렴한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푸틴 대통령과 시 주석은 또한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에 관한 보증국으로 미국, 유럽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의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의견을 교환했을 것으로 보인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푸틴 대통령이 중국에게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 및 알래스카에서의 회담 결과를 설명했다고 전하였다. 그는 또한 이번 회담에서는 중국 평화유지군을 우크라이나에 파견하는 방안은 논의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러시아-미국 관계는 주로 우크라이나 분쟁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며, 앞으로의 외교적 협의가 예정되어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번 중·러 정상회담의 결과는 양국의 에너지 협력이 더욱 심화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 정치 및 경제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