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영된 디즈니+의 오리지널 시리즈 ‘북극성’에서 주연인 전지현이 한 대사가 중국 내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다. 전지현은 극 중에서 “중국은 왜 전쟁을 선호할까요. 핵폭탄이 접경지대에 떨어질 수도 있는데”라는 발언을 하여 중국 누리꾼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 21일 홍콩 성도일보에 따르면, 이 발언은 소셜미디어에서 편집되어 재공유되며 중국의 이미지를 훼손했다는 비판을 불러왔다.
중국 누리꾼들은 전지현의 대사가 “중국의 이미지에 오명을 씌웠다”, “현실과 전혀 맞지 않는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중국인은 전쟁을 좋아하지 않는다. 오히려 평화를 추구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의견에서는 해당 대사의 맥락을 전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드라마 속 중국 동북부 지역 다롄의 모습이 홍콩에서 촬영되었고, 제작진은 지저분한 판자촌을 어두운 톤으로 촬영하여 다롄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이 외에도 중국 심벌인 별 다섯 개 문양이 그려진 카펫이 밟히는 장면과 악역 캐릭터가 중국어로 대화하는 장면이 부정적 이미지를 강화한다는 비판도 솟아올랐다.
더욱이 일부 중국 네티즌은 전지현이 중국 고대 시인 이백(이태백)의 시구를 인용하며 의도적으로 발음을 왜곡해 중국 문화에 대한 경시로 이어져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논란으로 인해 웨이보 등 중국 소셜미디어에서는 한한령(한류 제한령)을 유지하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으며, 전지현이 대사로 활동하는 화장품과 시계 브랜드에 모델 기용을 중단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심지어 일부 브랜드는 전지현과의 관계를 끊고 관련 광고를 삭제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 내에서 디즈니+나 넷플릭스 등의 플랫폼은 정식 서비스되지 않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우회 경로를 통해 인기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최근에는 넷플릭스의 ‘흑백 요리사’와 유사한 형식의 요리 경연 예능이 중국에서 제작되어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한류와 관련된 갈등을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