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희토류 수출 중단 소식에 따른 국내 관련주 급등

[email protected]





최근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중단하면서 국내 관련 주식들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희토류 수출 통제를 발표했으며, 이후 실제 수출이 중단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여러 기업이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니온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8.95% 상승하여 6,33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유니온은 자회사인 유니온머티리얼을 통해 희토류 대체 소재인 ‘페라이트 마그넷’을 생산하고 있어 희토류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다. 그 외에도 희토류 광산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노바텍은 전 거래일 대비 21.71% 상승하였으며, 현대비앤지스틸도 12.58%의 상승세를 보였다. 현대비앤지스틸은 희토류 영구자석을 생산하는 성림첨단산업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이 역시 희토류 관련주로 분류된다.

이 외에도 희귀금속 소재 유통업체인 티플랙스와 동국알엔에스는 각각 5.41%, 5.63%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동국알엔에스는 호주 희토류 생산 기업과 금속정제공장에서는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한 이력이 있어 관련 투자의 주목을 받는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를 발표한 것에 대응하여 보복관세를 부과하고 자국에서 생산하는 희토류에 대해 수출 통제를 발표했다. 이후 13일에는 희토류 및 자석의 선적이 새로운 규제 시스템이 마련될 때까지 중단된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번 규제에 따라 가돌리늄, 테르븀, 디스프로슘, 루테튬, 스칸듐, 이트륨 등 중희토류와 희토류 자석이 통제 대상에 포함되었다.

중국이 수출 중단 조치를 시행한 이후, 특별 수출 허가를 발급할 시스템 구축에 착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앞으로 희토류 공급 허가의 재개가 지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를 감안할 때, 핵심 광물 가운데 미국의 최우선 타깃은 희토류와 흑연일 가능성이 크다”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번 희토류 수출 중단 사태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공급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국내 기업들의 반사이익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도 계속하여 관련 주식들의 상승세를 이끌 가능성이 높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