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중국 제조 2025’ 계획, 목표 달성 못해

[email protected]





중국이 기술 자급자족을 목표로 한 10개년 계획인 ‘중국 제조 2025’에서 여러 주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불건전한 산업 경쟁을 촉발해 글로벌 무역 긴장을 악화시켰다는 보고서가 이번 주 유럽 상공회의소에서 발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선박 건조, 고속철도, 전기차 분야에서만 확실한 기술적 리더십을 확보했을 뿐, 항공우주, 고급 로봇 및 제조 가치 추가 성장률 등에서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2015년 ‘중국 제조 2025’ 계획이 발표되었을 당시, 해외 기업들과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쇄도했다. 이후 중국 정부는 이 계획에 대한 노력을 다소 약화했으나, 미국의 기술 제재조치로 인해 국내 기술 개발에 힘쓰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산업에서는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성과를 올렸지만, 항공우주와 고급 로봇 같은 핵심 분야에서는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기술 목표는 일반적으로 구체적인 수치를 달성하는 것보다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 제조 2025’ 계획의 첫 10년은 중국이 글로벌 제조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다년계획의 일환으로 설정된 것이다. 유럽 상공회의소는 중국의 자국 개발 항공기인 C919가 여전히 미국 및 유럽 부품에 의존하고 있으며, 자동화 수준이 상당히 증가했지만 그 기반은 외국 기술이라고 지적했다.

2024년 제조 가치 추가 성장률은 6.1%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5년 7%에서 감소한 수치로, 목표치인 11%에 절반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이다. 유럽연합 상공회의소의 Jens Eskelund 회장은 “중국이 제조 성장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이 다행”이라며, “그렇지 않았다면 글로벌 경쟁자들에게 더 큰 압박을 가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그는 느린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지난 10년 동안 전 세계 제조 가치의 29%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미국과 유럽을 합한 것과 거의 일치하는 수치라고 덧붙였다.

미국은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고급 기술 접근을 제한하고 있으며, 고급 제조 기업들이 미국 내 공장을 건설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미국은 반도체 제조업체 Nvidia의 인공지능 칩 수출에 대한 라이센스 요건을 부과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에 대해 Nvidia는 새로운 수출 라이센스 요건에 따라 약 55억 달러의 분기 손실을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과거에 비해 중국의 자립적인 기술 개발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중국 통신 대기업 화웨이는 2023년 말 5G 속도를 지원하는 최신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하지만 서방의 칩 수출 제재가 일정 부분 중국의 반도체 개발 노력에 차질을 빚게 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화웨이는 자국 생산부품 비율을 높이며 2024년에도 수익이 22% 증가하는 성과를 올렸고, 이에 따라 연구개발(R&D) 투자 비율은 20.8%에 달했다.

그러나 높은 연구개발 투자 비율이 반드시 효율적인 성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산업에서는 가격 전쟁이 만연해 대다수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경쟁사들보다 저렴하게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손실을 보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내주안’이라고 불리며, 산업 전반에 걸쳐 건강한 비즈니스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Eskelund 회장은 언급했다.

중국 정부는 2024년에 소매 판매 성장이 산업 생산 증가율에 못 미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소비 촉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제조품 생산량과 국내 시장 수요 간의 적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과잉 생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