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당국이 자국 기업에 대해 엔비디아의 H20 칩 사용을 자제하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지난 수 주 동안 여러 기업에 H20 칩 사용을 자제하라는 내용의 통지문을 발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영기업을 포함한 여러 기관이 정부 또는 국가안보와 관련된 업무에서 H20 칩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지침은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AMD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AMD의 MI308 칩 사용 제한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지침은 엔비디아와 AMD가 대중국 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익의 15%를 미국 연방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한 후에 발표된 것이다.
이번 칩 사용 제한은 과거 애플의 아이폰이나 테슬라 차량 등이 일부 기관이나 지역에서 제한된 경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 당국이 향후 엔비디아와 AMD에 대한 지침을 확대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의 이번 지침은 미국 정부가 H20의 수출을 재개한 배경에 대한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미국 고위 관계자들은 H20 재출이 미중 무역 합의의 일환임을 주장했으나, 중국 당국은 이를 부인하며 H20 공급 재개가 양국 간 합의의 일부가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중국 정부가 H20 수출 재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중국 측은 엔비디아 칩의 안전 리스크 문제에 대해 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최근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엔비디아를 소환해 백도어 안전 리스크와 관련된 설명 및 증명 자료 제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에 대해 엔비디아는 자사 제품에 원격으로 칩을 비활성화할 수 있는 장치인 ‘킬 스위치’나 데이터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백도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처럼 엔비디아와 AMD에 대한 사용 제한 지침은 단지 기술적 보안 문제를 넘어서,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향후 이들 기업의 대중국 전략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 및 협력 관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