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오는 29일부터 3인 이상의 중국인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시적인 무비자 입국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예정된 조치는 중국 최대의 휴가 기간인 국경절 연휴(10월 1∼8일)와 맞물려 시행되며, 관광 산업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하지만 성공적인 정책 시행을 위해 방문객들의 결제 편의성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22일 발표한 논평에서 “한국 정부의 무비자 정책은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결제 관련 불편함을 해소해야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과거의 사례를 언급하며, 중국 관광객들이 결제, 언어 장벽, 문화적 적응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을 언급했다. 만약 이러한 문제들이 재발할 경우, 관광객의 만족도가 낮아져 정책 효과가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글로벌타임스는 비자 면제 조치의 성공이 관광객 유치에만 국한되지 않고 양국 간 산업 협력의 심화에도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결제 편의성을 증진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지적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 양국 간의 협력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문화 상품이 한국에서 인기가 있는 만큼, 유명 영화 및 드라마 촬영지를 활용한 테마 관광 개발 또한 제안되었다. 관광 수요가 증가하면 항공편의 증대와 함께 금융 서비스 및 환전 협력 분야에서도 더 많은 기회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도 덧붙였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460만 명으로,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의 수치인 602만 명에 비해 76% 수준에 불과하다. 정부는 이번 무비자 정책을 통해 중국인 관광 수요가 회복되어 국내 시장에 활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한국은행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100만 명 증가할 때마다 국내총생산(GDP)이 0.08%포인트 상승할 수 있다”고 추산한 바 있다.
한국 정부는 이번 조치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5년 만에 재개되는 중국 단체 관광객 유치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 관광 산업의 활성화 및 경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결제 편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