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17일부터 19일까지 베이징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샹산포럼’이라는 대규모 안보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국제 질서 공동 수호와 평화적 발전 촉진’을 주제로 하며, 100여 개국의 국방 및 군사 지도자와 학계 인사 등 1,8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과의 무역 갈등 속에서 섣불리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샹산포럼은 2006년부터 개최되어 온 연례적인 다자 안보 회의로, 중국의 군사적 및 외교적 비전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포럼에서는 중국의 군 현대화 및 국방 정책에 관한 전략적 논의가 펼쳐질 것이며, 시 주석은 본인의 축하 서한을 통해 중국의 안보 구상을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시 주석은 최근 항일전쟁 전승 80주년 열병식에서 제기된 패권주의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다시 한 번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이번 포럼에서는 올해 열병식에서 공개된 고급 무기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도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DF 계열의 핵 탑재 미사일인 DF-5C와 DF-61, DF-26D, DF-17 등과, 미국 항공모함을 타격할 수 있는 YJ-21 극초음속 미사일,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인 JL-3 등 다양한 무기 체계가 포함된다. 이와 관련해 싱가포르 난양이공대의 제임스 차르 교수는 외국 대표단이 인민해방군의 무기 체계에 대한 기술 정보를 얻으려 할 것이라고 전망하며, 이는 중국의 군사적 현대화 및 리더십을 파악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서방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대표단을 이번 포럼에 파견할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작년에 비해 축소된 대표단을 보내기로 결정했으며,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국방 장관들도 참석할 예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남중국해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각종 군사 훈련과 미국, 영국의 군함의 대만해협 통과에 대해 경고를 강화하고 있으며, 고위 당국자들도 미국 고위 관계자들에게 대만 문제에 대한 간섭을 중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샹산포럼은 중국의 군사적 입장을 세계에 재확인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