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리임신 로봇 내년 상용화 발표…실현 가능성 논란

[email protected]



중국의 로봇 기업 카이와로봇이 세계 최초로 대리임신이 가능한 로봇을 내년 상용화하겠다고 발표하여 전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현재 기술 수준으로 인해 이러한 발표가 실현 가능할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으며, 생명윤리와 사회적 문제도 심층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카이와로봇의 대표인 장치펑 박사는 최근 인터뷰에서 “임신이 가능한 로봇을 내년에 출시할 것”이라며 “이 로봇의 가격은 약 2000만원(10만 위안)으로 책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기존의 인공자궁 인큐베이터 기술을 안드로이드 로봇에 통합하여 초기 임신 과정부터 출산까지 전 과정을 대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기술은 결혼을 원치 않는 고립된 세대와 난임 부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장 박사의 주장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의 인공자궁 기술은 임신 23주차에 태아의 성장을 도와주는 인큐베이터 수준에 불과하며, 임신 초기 단계와 출산을 모두 대리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생명윤리 측면에서도, 각국은 인간 배아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 대해 엄격한 규제를 두고 있으며, 중국 역시 수정 후 14일 이상의 인간 배아 실험은 금지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 박사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불법적인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더욱이, 대리임신 로봇 기술의 발전이 사회에 미칠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 현재 글로벌 대리모 시장은 약 34조원 규모로 추정되지만, 그 과정에서 인신매매와 법적 분쟁과 같은 심각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대리임신 로봇이 그러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인간의 출산을 ‘제조’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는 이미 올더스 헉슬리가 쓴 SF 소설 ‘멋진 신세계’에서도 다룬 바 있는 아이디어로, 결과적으로 출생 시부터 사회적 역할이나 직업이 정해지는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지능지수 검사 등을 통해 유전자 선택을 시도하는 스타트업이 등장하면서, 태생적 계급화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기술적 발전이 반드시 긍정적인 결과를 낳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결국, 대리임신 로봇 기술의 상용화 과정은 기술적 완성도뿐만 아니라 사회적 합의와 윤리적 기준 설정이 필수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