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34% 보복 관세 부과 발표

[email protected]





중국 재무부는 오는 4월 10일부터 미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발표한 추가 관세에 대한 대응으로, 이번 회의에서 가져온 총 관세는 중국에 대해 54%에 달하게 된다. 중국 정부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추가 관세를 부과한 것은 국제 무역 규칙에 일치하지 않으며, 중국의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세계 경제 발전과 생산 및 공급망의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의 국가 뉴스 매체인 신화(新華)는 재무부의 입장을 전하며 미국에게 즉각적으로 무역 관련 단독 조치를 취소하고, 대등하고 존중하며 상호 유익한 방식으로 무역 차이를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비즈니스 불신과 소비자 심리가 약세인 가운데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추가 자극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번 보복 관세는 2024년 미국-중국 간 5824억 달러 규모의 무역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뿐만 아니라 미국 주식 시장도 큰 영향을 받았다. 중국의 보복 조치 발표 직후, 미국 주식 선물은 큰 폭으로 하락하였고, 다우존스 산업 평균지수 계약은 900포인트(2.2%) 이상 하락하였다. S&P 500과 나스닥-100 선물도 각각 2.3%와 2.6% 하락하여 시장이 패닉 상태에 빠졌다. 유럽 시장에서도 급격한 하락세가 이어져, 유로존의 Stoxx 600 지수는 런던 시간으로 오전 11시 27분까지 4.5% 하락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중국 정부는 한편으로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 있어 신중한 접근을 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왔지만, 이번 조치는 두 나라 간의 갈등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보호무역 정책이 중국을 다른 무역 파트너로 돌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최근 중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부동산 위기와 소비자 및 비즈니스 신뢰 약세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글로벌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