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해킹 개입 주장… 사이버 전쟁의 신호탄

[email protected]



중국 정부가 127,272 비트코인, 즉 약 145억 달러 규모의 루비안 해킹 사건에 대해 미국 정부가 개입했다고 공식적으로 주장하고 나섰다. 국영 사이버 방어 기관인 국가컴퓨터바이러스응급처리센터(CVERC)는 최근 기술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 사건의 배후에 미국이 있다고 지적했다. 루비안은 과거 중국에서 가장 큰 비트코인 채굴 풀 중 하나로, 2020년 12월 해킹을 당했으나 이 사실은 올해 8월 암호화폐 분석 업체 아캄에 의해 처음 공개되었다. 아캄은 이를 ‘역사상 가장 큰 비트코인 해킹’으로 평가했다.

이와 관련하여 CVERC의 발표가 나올 당시 미국 정부는 145억 달러 상당의 비트코인을 몰수하는 소송을 제기한 상황이었다. 미국 법무부는 지난 10월 중순, 프린스 그룹 설립자인 천즈를 캄보디아에서 불법 강제노동 스캠 운영 혐의로 기소하면서 그의 명의로 보유된 비트코인을 압류했다. 이에 따라 중국 측은 이 암호화폐 자산이 이미 미국 정부의 관리 하에 있다고 주장하며, 이번 사건이 역사상 최대 규모의 몰수 사건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미국 법무부 역시 공식 성명을 통해 해당 비트코인이 현재 미국 정부에 의해 보관되고 있으며, 몰수 청구가 사상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한중 간의 사이버 보안과 암호화폐에 대한 갈등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루비안 해킹 사건은 단순한 범죄를 넘어 국가 간의 사이버 작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양국 간의 사이버 전쟁이 심각한 외교적 파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으며, 향후 관련 조사와 대책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이고 있다. 비트코인 해킹 사건이 국제 정치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지,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 관계가 한층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경제적 손실을 넘어서, 국가 간의 신뢰 문제 및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있다. 사이버 공격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각국은 더욱 철저한 보안 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 사회는 해킹과 사이버 전쟁에 대한 응징과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할 때가 온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