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중 무역 긴장 속 중앙아시아와의 관계 강화 모색

[email protected]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전쟁이 심화됨에 따라 중앙아시아와의 경제적 관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문가들이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국영 기업들은 미국에서의 수입을 대체하고 수출 경로를 재조정하기 위해 중앙아시아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상황이다. 경제 전문가인 제레미 찬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앞으로도 중국, 그리고 러시아보다는 중화권 국가에 더 많은 무역과 투자 요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3년, 중국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비서실 회의를 개최하며, 이 자리에서 시진핑 주석은 양국 간 투자 및 무역 관계의 업그레이드를 약속했다. 앞으로도 이들 국가들은 중국을 통해 새로운 투자 기회를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사실, 중앙아시아는 중국의 일대일로 형성의 주요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지난해 중국과 중앙아시아 간의 무역은 948억 달러에 달하며, 미국과의 무역은 40억 달러를 밑돌고 있다.

중앙아시아는 자원의 공급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들 국가로부터 천연 자원과 농산물을 주로 수입하고 있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438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이는 2030년까지 연간 400억 달러의 목표를 초과한 것이다. 키르기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과의 무역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키르기스탄과 중국이 2030년까지 무역을 450억 달러로 확대하기 위한 계획을 논의하며, 새로운 체크포인트 건설과 항공편 개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됐다. 이러한 전반적인 흐름은 중국의 반도체와 에너지 수요 증가, 그리고 중앙아시아의 안정적인 자원 공급처로서의 중요성을 방증하고 있다.

게다가 중국은 전기차 및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계속 강화하고 있으며, BYD와 같은 중국 전기차 제조사들은 중앙아시아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이들은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의 국가에서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중앙아시아에서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가운데,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미국의 외교 노력이 미흡하다고 판단하고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해 나갈 것이다.

이처럼 중앙아시아와 중국의 관계는 깊어지고 있으며, 미국은 이 지역에서 더욱 소외되고 있는 상황이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점차 독립성을 찾고 있으며, 이는 향후 중국과의 경제적 협력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