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올해를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원년으로 선언한 가운데, ‘2025 세계로봇콘퍼런스(WRC)’가 8일 베이징에서 시작되었다. 이번 콘퍼런스에는 약 220개 국내외 로봇 및 인공지능(AI) 기업이 참여하며, 중국전자학회와 세계로봇협력기구의 주관 하에 진행되고 있다. 행사 기간은 5일로, 12일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콘퍼런스의 주요 주제는 ‘로봇을 더 스마트하게, 체화 주체를 더 지능적으로’이며, 총 1500여 종의 다양한 로봇이 전시된다. 이 중 100여 종은 최초로 공개되는 신제품으로, 자율주행 잔디깎이 로봇, 구조용 로봇, 4족 보행 로봇 등 첨단 기술이 총망라되어 있다. 현장에서는 무인 자율주행 미니버스가 관람객을 실어 나르고, 로봇이 커피를 내리는 등 미래 기술이 현실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행사장 인근에 세계 최초의 로봇 전용 레스토랑이 문을 열었다. 이 레스토랑에서는 로봇이 예약 확인, 안내, 공연, 식음료 서비스를 전담하며, 고객 맞이에서부터 수행까지 모든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다. 여기에 따라 여성형 안내 로봇이 손님을 맞이하고, 로봇 연주자가 홀에서 음악을 제공하는 등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한편, 레스토랑 옆의 매장에서는 약 60종의 산업, 돌봄, 놀이용 로봇이 전시 및 판매되고 있으며, 가격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
14일에는 베이징 국가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에서 ‘세계 최초의 로봇 올림픽’이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는 총 26개 종목으로 운영되며, 로봇 기술의 실질적인 성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중국 정부는 AI와 로봇 산업에 1조 위안(약 193조 원)의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동안은 108건의 투자와 자금 유치가 이뤄져 약 153억 5000만 위안(약 2조 9600억 원)에 달하는 규모로 성장했다. 또한,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로봇 특허의 3분의 2를 중국이 출원했으며, 산업용 로봇 생산량은 55만 6000대로 11년 연속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이러한 투자와 기술 발전은 글로벌 로봇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증대시키며, 세계 최대 로봇 시장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