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세무 당국이 아마존닷컴을 포함한 글로벌 쇼핑 플랫폼에 중국 내 입점 업체들의 매출 자료 제공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치는 해외 사업을 하는 중국 온라인 판매자들의 탈세 행위를 단속하기 위한 첫 단계로 시행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여러 중국 온라인 판매자들에 따르면, 중국 국가세무총국은 최근 몇 달 동안 주요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에 중국 판매자들의 3분기 매출 데이터를 제출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아마존은 지난달 중순부터 이 데이터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알리바바 그룹의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같은 중국 플랫폼들은 아마존보다 몇 주 먼저 이러한 요청을 받고 자료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세무 당국은 현재 시행하고 있는 조치가 플랫폼 자체의 불법 행위와는 관련이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대신, 이를 통해 온라인 수출업자들이 실제로 보고하는 매출 수치보다 상당히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만약 세무 당국이 플랫폼이 제출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한다면, 판매자들은 최대 13%에 달하는 부가가치세와 법인세를 부담해야 할 수 있다.
중국의 세법에 따르면, 연 매출이 500만 위안을 초과하는 회사는 최대 13%의 부가가치세를 납부해야 한다. 이를 면제받기 위해서는 통관 서류나 수출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판매자들은 이런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세무 규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을 폐지하면서 큰 타격을 받은 중국 소매업체들에 또 다른 압박 요소가 될 전망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조치가 재정 수입 확대가 절실해진 중국의 현 상황을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결국, 세무 당국의 이러한 조치는 자국민의 해외 소득에 대한 세금 징수를 강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러 판매자들은 아마존 등 플랫폼이 정확한 매출 수치를 보고한 후 지방 세무 당국으로부터 즉각 납부 요구 메시지를 받았다고 전하고 있으며, 특히 재정이 열악한 지역에 등록된 판매자들에게는 더욱 긴급한 전화와 방문이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국가세무총국과 쉬인, 테무, 알리익스프레스 등 관련 플랫폼들은 이번 요청에 대한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반면, 아마존의 한 대변인은 “우리는 운영하는 모든 국가에서 적용 가능한 법률과 규정을 준수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온라인 판매자들은 보다 투명하게 세무 신고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