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보안 경고에서 월드코인(Worldcoin)을 겨냥하며 홍채 스캔을 수집하는 외국 암호화폐 기업에 대해 강력한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 국가안전부(MSS)는 해당 기업이 글로벌 사용자들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해외 서버로 전송하는 행위가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경고는 지난 5일 발표된 공식 성명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기업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홍채 데이터 수집 이후 토큰을 배포하는 방식이 월드코인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월드코인은 사마 알트먼(Sam Altman)이 이끄는 프로젝트로, 사용자의 홍채를 스캔한 뒤 WLD 토큰을 제공하며 신속하게 이용자를 확대해왔다. 현재까지 전 세계 1,000만 명 이상이 이 홍채 스캔을 완료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보안당국은 생체 정보가 단순한 개인정보를 넘어 신원 도용, 금융사기, 불법 감시에 이용될 위험이 있다고 강조하며, 외국 결제 시스템에서 해커가 지문 인증 정보를 유출한 사례를 언급했다. 이에 따라 외국 정보기관들이 중국 국민들의 생체 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고 이를 스파이 활동에 이용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생체 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엄격한 법률이 마련되어 있음을 강조하며, 모든 국민과 조직이 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특히, 의심스러운 데이터 수집 활동에 대한 신고를 장려하고 생체 정보 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월드코인은 미국과 말레이시아 등지로 사업을 확장하며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으나, 여러 국가에서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투명성 부족, 규제 미준수 등의 이유로 조사를 받고 있다.
특히 홍콩 당국은 월드코인의 데이터 수집 활동을 공식적으로 금지했으며, 이같은 규제 움직임에 따라 WLD 가격도 하락 압박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월드코인 측은 자사 시스템이 암호화된 데이터를 사용하며 법적 규제를 준수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전 세계 각국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중국의 경고는 월드코인과 유사한 프로젝트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규제 당국과의 갈등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