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에 대해 엔비디아의 H20 칩 사용을 제한하라는 지침을 발표했다고 12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이 통지문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최근 몇 주 동안 여러 기업에 대해 H20 칩의 사용을 자제하라는 요청을 전달하고, 특히 국영기업들이 정부 또는 국가 안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업무에 이 칩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소식통의 말에 따르면, 이번 지침은 엔비디아에만 국한되지 않고 AMD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AMD의 MI308 칩이 포함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조치는 엔비디아와 AMD가 대중국 판매 수익의 15%를 미 연방정부에 납부하기로 합의한 이후에 나타났다. 블룸버그는 이번 제한 조치가 과거 애플 아이폰이나 테슬라 차량에 적용되었던 정부 제한 사례와 유사하다고 보고했다. 더욱이, 중국 당국은 엔비디아와 AMD에 대한 지침을 더 넓은 범위로 확대할 가능성도 이야기하고 있다.
이번 지침은 미국 정부가 H20 칩 수출을 재허용한 이유에 대한 의구심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미국 고위 관계자들은 이 결정이 미중 무역합의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지만, 중국 정부는 H20의 공급 재개가 양국 합의의 일부분이 아니라고 공개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원래 H20의 수출 재개를 원치 않았을 수 있다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중국 측은 엔비디아 칩의 안전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최근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엔비디아를 소환해 백도어와 관련된 안전 리스크 문제에 대한 설명과 증명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 측은 자사의 칩에 원격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는 ‘킬 스위치’나 해커가 기기 내부의 기능을 조작해 데이터를 탈취할 수 있는 ‘백도어’가 없다고 부인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의 반도체 산업 정책과 관련하여 중요한 변곡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가 기술 자립과 국가 안보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향후 미국의 반도체 기술 수출 규제와 이에 대한 중국의 대응이 기업 전략 및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