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국 기업에 엔비디아 H20 칩 사용 제한 지침 발표

[email protected]



중국 정부가 자국의 기업들에게 엔비디아의 H20 칩 사용을 자제하라는 지침을 내렸다고 12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몇 주간 중국 당국은 여러 기업에 이 칩의 사용을 자제하라는 내용의 공식 통지를 전달했다. 특히, 국영 기업들이 정부 또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업무에서 H20 칩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 중 한 명은 이번 지침이 엔비디아에만 국한되지 않고 AMD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AMD의 MI308 칩이 직접 언급되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이번 지침의 발표는 엔비디아와 AMD가 대중국 판매 수익의 15%를 미국 연방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한 이후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조치는 과거 중국 정부가 애플의 아이폰 및 테슬라 차량을 일부 기관과 지역에서 제한했던 방식과 유사하다는 평가도 있다.

또한, 중국 당국은 엔비디아와 AMD에 대한 지침을 보다 광범위하게 확대할 가능성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지침은 미국 정부가 왜 다시 H20의 수출을 허용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이 조치가 미중 무역 합의의 일부라고 설명했으나, 중국 정부는 H20 공급 재개가 양국 합의의 일환이 아니라고 공개적으로 반박한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이로 인해 중국 정부가 H20의 수출 재개를 처음부터 원하지 않았던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는 H20 칩이 낮은 사양으로 설계된 만큼 중국 수출용으로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중국 측에서는 엔비디아 칩의 안전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지난달 31일에는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이 엔비디아 관계자를 소환해 백도어와 관련된 안전 리스크에 대한 설명 및 증빙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고 전해졌다. 이에 대해 엔비디아 측은 자사 칩에 원격으로 비활성화할 수 있는 ‘킬 스위치’라든지 외부의 데이터 탈취 또는 원격 조작이 가능한 ‘백도어’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인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기술과 국가 안보 간의 경계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는 상황을 보여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