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국 기업에 엔비디아 H20 칩 사용 제한 지침 발효

[email protected]



최근 중국 정부가 자국의 여러 기업에 대해 엔비디아의 H20 칩 사용을 자제하라는 지침을 내렸다고 12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과거 몇 주간 다수의 기업에 H20 칩 사용 자제를 권고하는 통지문을 발송했으며, 특히 국영기업이 정부나 국가 안보 관련 업무에서 해당 칩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지침은 단순히 엔비디아에 국한되지 않고, AMD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그러나 AMD의 특정 칩인 MI308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이번 조치는 엔비디아와 AMD가 대중국 판매 수익의 15%를 미국 연방정부에 납부하기로 한 이후 발표된 것으로, 이는 과거 애플 아이폰이나 테슬라 차량이 일부 기관이나 지역에서 제한된 방식과 유사하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이러한 지침은 중국 당국이 엔비디아와 AMD에 대한 규제를 더 확대할 가능성도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점에서 눈에 띄는 점은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 H20의 수출을 왜 재허용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고위 관계자들은 이 조치를 미중 무역합의의 일환으로 설명했으나, 중국은 H20 공급 재개가 그러한 합의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 내부에서 H20 수출 재개가 원래 원하지 않았던 결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추가로, 중국 측은 엔비디아 칩의 안전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지난달 31일,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엔비디아를 소환하여 백도어에 관한 설명과 관련 증거 자료 제출을 요구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엔비디아는 자사의 칩에 원격 비활성화 기능인 ‘킬 스위치’나 데이터를 탈취할 수 있는 ‘백도어’가 존재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결론적으로, H20 칩 사용 제한의 배경에는 중국의 국가 안보 우려와 더불어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서 파생된 복잡한 정치적 역학이 자리 잡고 있다. 이는 향후 엔비디아와 AMD의 대중국 전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기술 생태계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