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들에게 엔비디아의 H20 칩 사용을 제한하라는 지침을 통신사 블룸버그의 보도를 통해 12일 밝혔다.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여러 기업에 H20 칩 사용 자제를 요구하는 공식 통지가 전달됐다. 특히, 중국 당국은 국영 기업이 정부 또는 국가 안보 관련 업무에서 H20 칩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강한 반대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지침은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AMD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AMD의 MI308 칩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이는 엔비디아와 AMD가 대중국 시장에서의 판매 수익의 15%를 미국 연방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한 이후에 발표된 것으로, 중국 당국은 이와 관련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런 조치가 과거 애플의 아이폰과 테슬라 차량에 대한 제한과 유사하다고 지적하면서, 엔비디아와 AMD에 대한 지침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도 언급했다.
중국 정부의 이러한 조치가 미 정부가 H20 칩의 수출을 재개한 것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 고위 관리들은 H20 칩 수출 재개가 미중 간의 무역 합의의 일환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중국 측은 명백히 H20 공급 재개가 양국 합의의 일부가 아니라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 당국이 원래 H20 수출 재개를 바라지 않았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H20 칩이 외국에서 수출용으로 설계된 낮은 사양 모델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엔비디아 칩에 대한 안전 리스크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은 엔비디아 측을 소환하여 백도어 안전 리스크 문제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며 증명 자료 제출을 명령한 바 있다. 엔비디아측은 자사 칩에 비활성화할 수 있는 ‘킬 스위치’나 정부 또는 해커가 내부 데이터를 탈취하거나 조작할 수 있는 ‘백도어’가 없다는 점을 부인하며 반박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사건들은 중국과 미국 간의 기술 및 무역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앞으로의 시장 상황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의 이 같은 지침은 결국 자국의 기술 안보와 관련된 우려로 인해 강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감시와 조정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