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기술 자급자족을 이룩하겠다는 10년 계획인 ‘중국 제조 2025’의 주요 목표를 여러 가지 달성하지 못했다고 유럽 상공회의소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중국은 산업 경쟁을 불건전하게 촉진하여 글로벌 무역 긴장을 악화시켰다고 한다. 10개 전략 산업 중에서 중국은 조선업, 고속철도, 전기차 분야에서만 분명한 기술적 우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중국 정부가 ‘중국 제조 2025’ 계획을 발표했을 당시, 이는 외국 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킨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중국 정부는 이 계획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였지만, 최근 몇 년간 미국의 제재가 강화됨에 따라 국내 기술 개발에 더욱 주력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자동차 분야에서는 자급 자족 목표를 초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항공우주, 고급 로봇, 그리고 제조업 부가 가치 성장률에서는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목표는 일반적으로 특정 날짜에 달성해야 하는 수치보다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중국 제조 2025’ 계획은 국가가 글로벌 제조 강국이 되기 위해 첫 10년을 계획한 다년 전략의 일환이다. 보고서는 중국의 자주 개발한 항공기인 C919가 여전히 상당 부분 미국 및 유럽 부품에 의존하고 있으며, 산업 자동화 수준이 “상당히 증가했지만” 주로 외국 기술 덕분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2024년 제조 부가 가치 성장률은 6.1%로, 2015년 7%에서 감소했으며, 목표인 11%에는 절반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유럽연합 상공회의소의 Jens Eskelund 회장은 “중국이 제조 성장 목표를 놓친 것은 정말 다행”이라고 전했다. 그는 “그들이 목표를 달성했다면 글로벌 경쟁자에게 더 큰 압박을 가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은 지난 10년 만에 세계 제조 부가 가치의 29%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미국과 유럽의 합산 수치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미국은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고급 기술 접근을 제한하고 있으며, 고급 제조업체들이 미국에 공장을 세우도록 장려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기반의 반도체 제조업체인 Nvidia가 중국에 보내는 AI 칩에 대한 수출 라이센스 요건을 발표했으며, 이로 인해 Nvidia는 약 55억 달러의 분기 손실을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하여 홍콩 과학기술대학교의 리옹 M. 니 원장은 “서구의 칩 수출 통제가 중국의 반도체 개발 노력을 일시적으로 저해했지만, 이 또한 미국과 동맹기업들에게 비용을 초래했다”고 언급했다. 중국의 자립 개발 노력을 통해 산업 자급자족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으며, 필요한 제품 개발이 국내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두 번째로 좋은 대안품을 구매해야 할 상황에 처했다.
중국은 매 5년마다 국가 발전 우선 과정을 발표하는데, 현재의 제14차 5개년 계획은 디지털 경제에 대한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제15차 5개년 계획은 내년에 발표될 예정이다.
중국의 기술 자립이 어느 정도까지 이루어질지는 불확실하지만, 현지 기업들은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중국 통신 대기업인 화웨이는 2023년 하반기 5G 속도를 지원하는 고급 칩을 탑재한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화웨이는 2019년부터 미국의 검열을 받으며 독자적인 운영 체제를 개발하기도 했다.
한편, 과학기술정책 연구소는 “서구의 수출 통제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지만, 중국의 반도체 개발 노력은 빠르게 재기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반도체 생태계에 destabilizing 요소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반도체 및 전기차 시장에서 과도한 경쟁으로 가격 전쟁이 발생하고 있으며, 많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