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지린성 간부 “고구려와 발해 역사 명확히 설명해야”

[email protected]



중국 지린성의 고위 공무원이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에 대해 명확하고 확고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한국과의 역사적 긴장을 다시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주목받고 있다. 27일(현지 시간) 현지 언론인 지린일보에 따르면, 황창 지린성 당서기는 지난 19일 조직한 ‘지린성 근현대사 전시회’ 준비 과정을 점검하며 이와 같은 발언을 했다.

지린성은 북한, 중국, 러시아의 국경이 맞닿아 있는 지역으로, 특히 옌볜 조선족자치주가 위치해 있어 한국과의 역사적 연관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황 당서기는 고대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하며, 부여, 고구려, 발해의 역사를 관람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직관적으로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왜곡된 역사적 해석을 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황 당서기의 발언은 일시적인 역사 해석의 차이를 넘어서, 중국이 고구려와 발해를 자국의 역사에 포함시키려 했던 과거의 동북공정 문제와 연결되어 있어 더욱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동북공정은 2000년대 초중반 중국이 시도했던 정책으로, 주로 한국의 고대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노력이었으며, 이는 한국에서는 큰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황 당서기는 또한 근현대사의 중국의 항일 전쟁과 같은 역사적 사건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관람객들의 시각에서 역사적 맥락을 분명히 전달할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시회에서 도표, 문물, 자료의 과학적 고증을 통한 정확성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러한 작업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리 8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다양한 기념행사를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강조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경과는 한중 간의 역사적 논쟁을 다시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배경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또한 황 당서기의 발언이 한국과의 외교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역사 인식이 민감한 한국과 중국 간의 외교 관계에 또 다른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으며, 역사적 사실의 해석과 정치적 상황이 어떻게 얽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언급될 것이다.

Leave a Comment